티스토리 뷰
목차
2025 종합소득세 직권연장 대상자와 신청방법 아세요
2025 종합소득세 납부기한이 특별재난지역과 수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직권연장됩니다.
대상자 조건부터 홈택스·손택스 신청 방법, 지방소득세 자동 연장까지 핵심 정보만 정리했습니다. 지금 꼭 확인하세요!
1. 종합소득세 직권연장 개요
1-1. 정책 발표 배경
2025년, 정부는 자연재해 및 사고로 피해를 입은 납세자의 세금 부담 완화를 위해 납부기한을 직권으로 연장하는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1-2. 직권연장 vs 신청연장
구분 | 직권연장 | 신청연장 |
---|---|---|
대상 | 정부가 지정 | 납세자 신청 |
절차 | 자동 적용 | 홈택스/손택스 신청 필요 |
연장 범위 | 납부기한 | 신고 및 납부기한 |
최대 연장 | ~2025.9.1 | 최대 9개월 |
2. 직권연장 대상자
2-1. 특별재난지역 납세자
다음 지역에 주소나 사업장을 둔 경우 자동 직권연장 대상입니다.
- 산불 지역 (3.22~3.27): 경남 산청, 하동 / 경북 의성, 안동, 청송, 영양, 영덕 / 울산 울주군
- 오폭 사고: 경기 포천 이동면
- 항공 사고: 전남 무안 (제주항공 피해자 및 유가족)
2-2. 수출 중소기업
- 2024년 수출액 5억 원 이상
- 전체 매출의 50% 이상이 수출
- KOTRA·관세청 인증 기업
- 주의: 금융소득 2천만 원 초과자는 제외
3. 종합소득세 연장 신청 방법
3-1. 홈택스 이용 방법
- 홈택스 접속: www.hometax.go.kr
- 로그인 후 "세금관련 신청/신고" 클릭
- "신고·납부기한 연장신청" 선택
- 신청 사유 입력 후 제출
3-2. 손택스 앱 이용
- 손택스 앱 실행
- 세금 관련 → 신고기한 연장 신청
- 사유 선택 후 신청
4. 개인지방소득세 자동 연장
4-1. 신고 방법
종합소득세 신고 후 지방세 신고로 연계되며, 위택스에서 신고 완료합니다.
4-2. 모두채움 안내문 받은 경우
안내문에 기재된 가상계좌로 납부 시 신고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5. 세정지원의 의미
5-1. 정책 의의
- 납세 부담 완화
- 재난 및 중소기업 회복 지원
- 유연한 세무행정 실현
5-2. 향후 제도 변화 예상
전자신고 간소화, AI 세무보조 시스템 등 납세자 편의 중심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 참고 링크
- 정책브리핑 원문: 바로가기
- 홈택스: www.hometax.go.kr
- 손택스 앱: 앱스토어/플레이스토어에서 '손택스' 검색
- 위택스: www.wetax.go.kr
정확한 세무 정보로 2025년에도 놓치지 말고 세금 계획하세요!
※ 함께 보면 좋은글 보기
2025.05.13 - [경제] - 2025 소상공인 50만원 지원금, 7월부터 지급 시작! 지급 대상과 방식 총정리
2025 소상공인 50만원 지원금, 7월부터 지급 시작! 지급 대상과 방식 총정리
정부가 2025년 추경 예산에 포함된 소상공인 50만원 지원금 지급 일정을 발표했습니다. 5월 8일 공개된 정부 공문에 따르면, 이번 50만원 지원금은 '부담 경감 크레딧' 형태로 2025년 7월부터 지급이
nformationseabird.com
※ 함께 보면 좋은글 보기
2025.05.15 - [경제] - [2025 민생지원금] 1인당 50만원 확정! 지급대상과 신청방법 총정리
[2025 민생지원금] 1인당 50만원 확정! 지급대상과 신청방법 총정리
[2025 민생지원금] 1인당 50만원 확정! 지급대상과 신청방법 총정리 정부 발표로 1인당 50만 원 민생지원금 지급이 확정되었습니다. 누가, 언제, 어떻게 받을 수 있는지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50만
nformationseabird.com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혜택알리미, 몰라서 놓친 정부지원 이젠 앱으로 확인하세요 (0) | 2025.05.17 |
---|---|
2025 정부지원금 한눈에 K-희망사다리 보기 (2) | 2025.05.17 |
[5월 정부지원금] 1인당 최대 100만원·55만원 지급!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0) | 2025.05.14 |
서울시 미래청년일자리 신청 방법, 서울에서 경력 쌓고 취업까지! (0) | 2025.05.09 |
2025 국민연금 개혁안 통과 – 보험료 인상과 지급 보장, 청년층 부담 논란 (5) | 2025.03.21 |